Homer Bezaleel Hulbert (1863.1.26~1949.8.5)
한자 이름 : 訖法, 紇法, 轄甫 등으로 쓰였다.
-
1863
- 1. 26미국 버몬트Vermont주 뉴헤이븐New Haven에서 목사이자 미들베리대학Middlebury College 총장이었던 아버지 캘빈 헐버트(Calvin B. Hulbert)와 다트머스대학Dartmouth College 창립자 후손인 어머니 매리(원명: Mary E. Woodward)의 둘째 아들로 태어남
-
1884
- 다트머스대학 졸업, 유니언신학대학Union Theological Seminary 입학. 2년 수학 후 조선에 가기 위해 학교를 그만둠
-
1886
- 7. 5‘육영공원育英公院’ 교사가 되기 위해 조선 제물포에 도착
-
1887
- 다트머스대학으로부터 Artium Magister(문학 박사를 뜻함) 받음
-
1888
- 9. 18메이 한나May B. Hanna와 뉴욕에서 결혼

-
1889
- 조선 말글의 우수성에 대한 최초의 글 <조선어The Korean Language>를 《뉴욕트리뷴New York Tribune》에 기고
-
1891
- 1최초의 교과서이자 최초의 한글 교과서 《사민필지》 출간
- 12육영공원 사직, 미국으로 귀환
-
1892
- ‘풋남군사학교Putnam Military Academy’(Zanesville, Ohio) 교장
-
1893
- 7시카고에서 열린 ‘컬럼비아국제설화학술회의The International Folk-Lore Congress of World’s Columbian Exposition’에서 조선의 설화, 민담 소개
- 10감리교 선교사로 재내한. 배재학당 삼문출판사Trilingual Press 책임자, 동대문교회 담임목사
-
1895
- 《조선소식The Korean Repository》 운영 책임자/공동 편집인
- 명성황후시해사건 직후 언더우드Horace G. Underwood, 에비슨Oliver R. Avison 등과 함께 고종의 침전에서 불침번을 섬
-
1896
- 구전의 아리랑에 역사상 최초로 서양 음계를 붙임
- 서재필의 《독립신문》 창간을 도움. 《독립신문》 영문판 편집자
-
1897
- 한성사범학교 책임자/교습敎習, 대한제국 교육 고문
-
1899
- 영국 ‘왕립지리학회Royal Geographical Society’ 정회원Fellow
-
1900
-
1901
- 영문 월간지 《한국평론The Korea Review》 창간
- ‘왕립아시아학회Royal Asiatic Society’ 한국지부 창립 이사. 헌장 및 정관 기초
-
1903
- 조선왕조 역사서 《대동기년大東紀年》 출간
- 《타임즈The Times(London)》 객원특파원
- YMCA 창립준비위원장 및 창립총회 의장. YMCA 창립 선포, 헌장 기초
-
1904
-
1905
- 종합 역사서 《한국사The History of Korea》 출간
- 《한국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연구A Comparative Grammar of The Korean and The Dravidian Languages》 출간
- 을사늑약 저지를 위해 고종 황제의 특사로 미국을 방문하여 루스벨트Theodore Roosevelt 대통령에게 고종 황제 친서 전달을 시도하고, 일본의 보호조약 체결을 막아달라고 호소
-
1906
- 노량진교회 설립 인도
- 한국의 역사, 문화를 집대성한 《대한제국의 종말The Passing of Korea》 출간
- 6. 22헤이그 만국평화회의를 위한 고종 황제의 특사로 임명됨
-
1907
- 3일본이 약탈해 간 ‘경천사 십층석탑’의 반환을 세계 언론에 호소
- 5고종 황제의 특사로 헤이그 방문, 한국인 특사 지원
- 7. 10헤이그 평화클럽Peace Club에서 일본의 불법성 폭로
- 일본의 박해로 미국으로 돌아가 매사추세츠주 스프링필드Springfield에 정착
- ~1945미국 전역을 돌며 강연과 기고로 한국 독립을 호소
-
1908
- 《대한력사》 상권(《한국사》 번역본), 오성근 등의 도움으로 출간
-
1909
- 가사 정리를 위해 잠시 한국 방문. 고종 황제 내탕금 인출을 위한 위임장 수수
-
1911
- ~1922미국 ‘셔토쿠어순회강좌Chautauqua Circuit’ 강사. 한국의 억울함을 알리며 한국 독립 호소
-
1919
- 파리강화회의 기간 중 프랑스에서 임시정부 대표 김규식과 함께 한국 독립 호소
- 8미국 상원 외교관계위원회에 ‘한국 독립 호소문’ <한국을 어찌할 것인가What about Korea?> 제출, 일본의 잔학상 고발
- ~1945‘한국친우회The League of The Friends of Korea’, ‘구미위원부The Korean Commission to America and Europe’ 등 한국 독립 운동 단체에서 중심 연사로 활동
-
1924
- 미국 전역(220곳 추정)에서 강연하며 식어가는 한국 독립 운동 열기를 되살림
-
1925
- 프리메이슨Freemason(박애사상 함양 단체) 회원
- 한국 전래 동화책 《엄지 마법사Omjee The Wizard》 출간
-
1926
- 제주도를 무대로 한 소설 《안개 속의 얼굴The Face in The Mist》 출간
-
1941
- ~1945‘한미협회The Korean-American Council’와 ‘기독교인친한회 The Christian Friends of Korea’에서 활동하며 한국 독립을 호소
-
1942
- 3. 1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‘한인자유대회Korean Liberty Conference’에 참석, 한국의 독립과 한국인의 단결을 호소
-
1948
- 9. 25아내 메이May B. Hulbert 별세
-
1949
- 7. 29대한민국 국빈 초청으로 8.15 광복절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내한
- 8. 5내한 1주일 만에 서거
- 8. 11외국인 최초의 사회장으로 영결식 거행 후 양화진에 안장
-
1950
- 3. 1대한민국, '건국공로훈장' 태극장(현 독립장) 추서
-
1999
- 8. 550년 동안 묘비명이 비어 있던 헐버트 묘비에 김대중 대통령의 ‘헐버트 박사의 묘’라는 묘비명을 새김
-
2013
- 7대한민국, 헐버트를 외국인 최초로 2013년 7월 ‘이달의 독립운동가’에 선정
- 8. 13경북 문경시, 문경새재에 ‘헐버트문경새재아리랑비’ 건립
- 12. 27서울시, 종로구에 한글 역사인물 <주시경-헐버트> 상징 조형물 건립
-
2014
-
2015
- 10. 7(사)서울아리랑페스티벌, 제1회 ‘서울아리랑상’ 추서